경기문화저널
MENU
SEARCH
CLOSE
호별보기
기사별보기
내용별보기
커뮤니티
HOME
기사별보기
호별보기
기사별보기
내용별보기
커뮤니티
기사별보기
전체
262
건
전체보기
특집
인터뷰
칼럼/서평
연재
현장
칼럼/서평
정책/이슈
생활문화와 지역문화
2018-03-26
최 영 주 |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사무처장개념을 규정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개념을 규정한다고 해서 그것이 진실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해서 규정하는 것을 소홀히 생각해서는 안 된다. 목적과 방향...
특집
사업
시민문화활동가 양성을 통해 지방문화원 사업추진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가?
2018-03-26
아젠다31
[아젠다31]은 2017 제4회 페스티벌31에서 진행한 지방문화원 담론 형성을 통한 심포지엄, <아젠다31>의 섹션별 진행과정을 녹취 및 윤색한 기사입니다. 최영주 (경기도연합회 ...
특집
사업
내가 노인이 되면 지금 문화원에서 하는 어르신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을까?
2018-03-26
아젠다31
[아젠다31]은 2017 제4회 페스티벌31에서 진행한 지방문화원 담론 형성을 통한 심포지엄, <아젠다31>의 섹션별 진행과정을 녹취 및 윤색한 기사입니다다들 아시겠지만 아젠다(Agenda...
칼럼/서평
사업
지방문화원을 중심으로 향토문화연구의 방향 찾기
2018-03-26
아젠다31
[아젠다31]은 2017 제4회 페스티벌31에서 진행한 지방문화원 담론 형성을 통한 심포지엄, <아젠다31>의 섹션별 진행과정을 녹취 및 윤색한 기사입니다. 최영주 (경기도문화원연...
특집
사업
지방문화원은 지역의 현재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2018-03-26
아젠다31
[아젠다31]은 2017 제4회 페스티벌31에서 진행한 지방문화원 담론 형성을 통한 심포지엄, <아젠다31>의 섹션별 진행과정을 녹취 및 윤색한 기사입니다. 좌장 윤한택(이하 ...
연재
정책/이슈
문화다양성 한발 더 들어가기
2018-03-26
문화원과 문화다양성2
문화다양성 첫걸음이 기획시리즈는 문화다양성을 주제로 진행합니다. 문화사업과 활동에 있어 어느덧 중요한 가치로 자리한 문화다양성. 이주민사업을 칭하는 다문화사업과 달리 문화다양성은 더 넓은 영역을 이야...
현장
사업
마을 플랫폼, 공간과 사람이 이어주는 생활문화
2018-03-26
양평군 세월리 사례를 중심으로
김 지 연 | 문화기획자■ 마을학교축제로 시작한 세월초, 그리고 세월문화사랑방을 만들다. 본인이 양평 세월리와 인연을 맺기 시작한 것이 벌써 10년이 되어간다. 2007년 양평지역...
특집
조직/경영
지역에서 주민센터와 문화원의 역할은 어떻게 다른가?
2018-03-26
나 명 철 과장 | 용인문화원 용인시 인구가 100만 명을 넘었다. 예전에 ‘동사무소’ 혹은 ‘면사무소’라고 부르던 곳이 있다. 주민센터다. 민원을 처리하는 ...
특집
정책/이슈
플랫폼이란?
2018-03-26
지역에서 플랫폼 역할을 한다는 것
조 용 호 | 비전아레나대표,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플랫폼 논의의 시작△ 1848~49년 미국 골드러쉬(Gold Rush)플랫폼이란 단어는 하나이지만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
칼럼/서평
정책/이슈
새 부대의 운명은 아무도 모른다.
2018-03-26
<생활문화 이어보기> 프로젝트에 대한 단상
고 영 직 | 문학평론가시민 개개인의 행복을 위하여 2016년 6월 28일, 서울시는 시민 모두의 행복을 위한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계획안》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제목